이슬람의 근대화와 개혁 (이슬람과 무슬림들의 후진성 ) 이슬람은 모두에게 저주이지만 무슬림들이 이슬람의 주요 피해자이다. “무엇이 잘못되었는가”라는 제목의 2005년 기사에서 파키스탄인 저자 Farrukh Saleem 박사는 다음과 같이 저술하였다: 57개 무슬림 국가들의 연간 GDP 총계가 2조 달러 이하이다. 미국은 혼자서 10.4조 달러의 재화를 생산하며 중국은 5.7조 달러, 일본은 3.5조 달러 그리고 독일은 2.1조 달러를 생산한다. 인도의 GDP도 3조 달러 이상으로 평가된다.(구매력 평가 기준). 원유 자원이 풍부한 국가인 사우디 아라비아, U.A.E, 쿠웨이트와 카타르는 모두 합하여 4천3백억 달러 가치의 재화(대부분 원유)를 생산하지만 네덜란드 혼자서 더 많은 연간 GDP를 가지고 있으며 불교국가 태국도 4천2백9십억 달러 가치의 재화를 생산한다. 무슬림들은 세계인구의 22%이지만 전 세계 GDP의 5% 이하를 생산한다. 더 염려되는 것은 무슬림 국가들 GDP의 전 세계 GDP에 대한 비율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아랍 국가들은 특히 악화되고 있다. UN의 아랍 개발 보고서에 따르면 “아랍 여성의 절반이 글을 읽을 줄을 모르며 5명 가운데 1명의 아랍인들이 하루 2달러 이하로 살아가며 아랍 인구 가운데 단지 1%만이 개인 컴퓨터를 가지고 있으며 그 1%의 절반만이 인터넷을 사용하며 아랍 노동력의 15%가 실업 상태이고 이 숫자는 2010년까지 2배가 될 것이다. 아랍 세계에서 지난 20년 동안 개인당 소득의 평균증가율은 매년 0.5%였으며 아프리카의 사하라 남쪽을 제외하고 어느 곳보다도 안 좋다.” 지구상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들은 에티오피아, 시에라리온, 아프가니스탄, 캄보디아, 소말리아, 나이지리아, 파키스탄과 모잠비크이다. 적어도 가난한 나라들 가운데 가장 가난한 6개 국가가 무슬림이 대다수인 국가들이다. 결론: 세계의 무슬림들은 가난한 나라들 가운데 가장 가난한 나라들에서 살고 있다.
무슬림들이 대다수인 57개 국가들은 각 나라 당 평균 10개의 종합대학교를 가지고 있으며 모두 합하여 14억 인구에 600개 이하의 종합대학교를